• 6장 리틀 맨 컴퓨터(LMC)

    2020. 10. 20.

    by. 김빱빱

    리틀 맨 컴퓨터란 컴퓨터가 하는 일을 사람이 한다면..하고 상상해서 써보는 것이다. (위 그림의 머리에 안테나 달린 콩나물같은 게 사람의 역할을 한다.)

    저 콩나물이 어떻게 일을 하는가? 에 대해 생각해보자

    1. IN에 들어온 주소(00~99)를 갖고 Calculator(이하 계산기)에 넣는다. 
    2. 주소에 해당하는 값을 Mailboxes(이하 메모리) 에서 찾아, 주소 값에 해당된 값을 찾는다.
    3. 그 값을 계산기에 넣는다.
    4. 이런 식으로 한 번 수행될 때마다 Instruction Location Counter(이하 카운터) 의 값을 +1 또는 -1 한다.

     

    자 대충 뭐 하는지는 알겠으니 이제 재미없는 것을 배워보자

    저 콩나물맨이 하는 모든 일들을 이처럼 기호와 코드로 표현한다. n n 에는 콩나물 맨이 받은 주소를 쓰면 된다. 

    주의 : 분기라는 건 조건식같이 작용한다                                                                                                     ex) on Zeros는 값이 0이 될 때 다음 할 일로 넘어간다는 뜻 

    이제 두 수를 더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티스토리 표 왜 이렇지? 귀찮지만 만들어와야겠다

    명령어 표를 참고해서 이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 데이터는 99부터 98..97..이렇게 뒤에서부터 저장되기 때문에 STOP이후에 99번지 데이터를 표기해주어야 한다.

    댓글

Designed by Na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