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례
1. 넷플릿스
드라마'하우스 오브 카드' 제작 전 빅데이터 활용.
시청 패턴 분석 -> 시즌 시작 시 <전시즌 전체 공개>를 활용해 몰아보기 풍속을 만들어 냄.
2. 20세기 폭스
영화 개봉 시 영화 관람객을 예측할 수 있음.
3. 핏빗 (구글 인수)
건강정보 데이터체계를 통한 헬스케어 신사업 분야 발굴 시도.
4. 프로그래시브 (자동차 보험)
단말기 활용해서 다양한 운전 습관 데이터 수집, 분석 -> 보험료 산정 자료로 활용/ 운전 습관 개선
5. 우버
어떤 사람들이, 언제, 무엇을 원하는 사람들이 '어디로' 이동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활용
카셰어링 서비스를 넘어서 다양한 주문형 서비스의 종합 플랫폼으로 진화.
어떤 목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할까?
1. 니즈 발굴의 영역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니즈 정량화
2. 경험 맥락 평가의 영역
제품, 서비스 선호 속성 정량화
'UIUX > Data Driven UX | 패스트캠퍼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0) 2022.06.15 시작하기 전..고려할 점 (0) 2022.06.15 마인드셋 3가지 (0) 2022.06.12 나는 어떤 직무가 맞을까? (0) 2022.06.12 DDUX이 뭘까 (0) 2022.06.12 댓글